안녕하세요.

10월 31일 마지막 날이네요.

금일 시황 및 이슈 공유 드립니다.

 

2,500을 넘어 섯군요... 하지만 유지 하는 것이 문제일 듯...

미 3대 증시가 모두 흘러 내렸기에 영향이 있을 듯 싶네요.

반면 국내 증시는 상승 추세는 유지하되 전약후강 장세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국내증시


           코스피                              코스닥                            코스피200

그래프그래프그래프

 코스피지수는 장 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2,513.87에서 상승세로 출발

오전 중 2,500선 아래로 밀려나기도 했으나 재차 상승폭을 확대하는 모습을 보임

장 막판 상승폭을 다소 확대한 지수는 2,500선을 넘어서며 결국 2,501.93에서 장을 마감

 

개인은 약 2,610억원과 외인은 약2,810억어치 매수를 하였고

기관은 약5,210억원어치 매도

 

시가총액 상위인 삼성전자(1.54%), SK 하이닉스(1,79%) 상승 하였고

KB금융(0.51%), 한국전력(0.13%) 상승 마감

posco(-2.64%), 삼성생명(-1.89%), 현대차(-1.58%), SK텔레콤(-1,34%), 삼성바이오로직스(-0.93%) 하락마감

 

업종

상승/하락률(%) 

전기전자 

1.79 

 섬유의복

1.03 

종이목재 

0.89 

비금속광물 

0.64 

유통업 

0.02 

 보험

-2.26 

건설업 

-1.85 

철강금속 

-1.53 

증권 

-1.33 

 의약품

-1.18 

기계 

-1.16 

 통신업

-1.05 

코스닥지수는 692.76에서 상승세로 출발

장후반 하락세로 돌아선 지수는 688.41에서 저점을 형성 후 689.68에서 약보합으로 장을 마감

 

개인 약 140억원, 기관 약100억어치 매도를 하였지만

외국인은 약 200억 가량 매수를 하며 지수 방어

 

신라젠(6.35%), 휴젤(4.99%), 파라다이스(2.54%). 펄어비스(1.52%) 상승

코스닥 시총 상위인 셀트리온(-3.94%), 셀트리온헬스케어(-7.89%) 하락하였고

코미팜(-2.45%), 메디톡스(-1.95%), SK머티리얼즈(-1.14%) 하락 마감

 

업종 

상승/하락률(%) 

음식료/담배 

3.10 

화학 

2.35 

정보기기 

1.67 

오락/문화 

1.66 

소프트웨어 

1.46 

기타서비스 

1.39 

운송 

1.35 

컴퓨터서비스 

1.29 

 유통

-4.12 

 섬유/의류

-1.66 

제약 

-1.09 

IT부품 

-0.63 

 

해외증시


             다우 23,348.74                       나스닥 6,698.96                     S&P 500 2,572.83

다우 산업 그래프나스닥 종합 그래프S&P 500 그래프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세제개편 속도가 느리게 진행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면서 3대 지수 모두 하락
 

국제유가는 주요 산유국들의 감산 연장 기대감에 8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12월 인도분 가격은 어제보다 0.25달러(+0.46%) 상승한 54.15달러에 거래 마감

 

상해종합지수는 3,413.87에서 약보합 출발

오전 중 3,357.52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서서히 낙폭을 만회하며 결국 3,390.34에서 장을 마감

 

니케이지수는 22,047엔선에서 강보합 출발

미증시의 상승 영향과 기업들의 실적 기대감에 장 초반 소폭 상승세 유지

일본은행(BOJ) 금융정책 회의 결과 발표를 앞둔 경계감에 혼조세를 보이다 결국 22,011엔선에서 장을


주요 이슈


  - 삼성전자 실적 발표 및 주주환원 정책 발표 예정
  - 日) 일본은행(BOJ) 자산매입 규모 및 금리 결정

- 루트로닉, 제넥신, 와이지-원(우선주의 보통주전환)

- 씨트리, 알비케이, 이엠디, 파루(BW)

- 우진비앤지, 내츄럴엔도텍(CB)

- 스킨앤스킨, 대성엘텍(주식매수 선택권)


목표주가 상향된 곳은 어디??


[제일기획] 

4분긴 노트8의 지역별 출시 마케팅 및 하만 대행시작등이 긍정적 변수

4분기 및 내년 삼성전자 계열 물량 고성장 전망

평창 동계올림픽 수혜 예상

4분긴 노트8의 지역별 출시 마케팅 및 하만 대행시작등이 긍정적 변수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가 100도 남지 않아 사전 마케팅도 본격화

 

[롯데케미칼]

3분기 영업이익 3%하회 하였으나 LC타이탄 정기보수 영향

4분기 영업이익 분기 대비 6% 감익 전망(일회성비용 발생 가정)

4분기 비수기 영향으로  시황모멘텀이 약해질 수 있음

 

[LS]

원자재 가격 상승은 수익에 긍정적

사업 구조조정을 통해 안정성 및 성장성에 도움

(동박/박막과 자동파부품, 광산지분을 매각하여 1조7천억원을 확보할 계획)

우호적인 수익 변수로 약세분위기 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