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18일 시황
주식/시황정보 2017. 10. 18. 09:07
안녕하세요.
오늘도 장전 시황 공유 드리겠습니다.
오늘하루도 파이팅 넘치는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뉴욕증시는 주요 기업들의 실적이 호조를 보이면서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나스닥지수는 최근 강세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면서 약보합 마감하였습니다. 다우 지수는 장 중 23,000선을 돌파하기도 하는 등 사상 최고치를 재차 경신했으며, S&P500지수 역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였습니다.
국제유가는 이라크 중앙정부와 북부 쿠르드자치정부(KRG) 간의 충돌에 따른 긴장이 다소 완화되면서 강보합세를 기록하였습니다.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11월 인도분 가격은 어제보다 0.01달러(+0.02%) 상승한 51.88달러에 거래마감하였습니다.
니케이지수는 21,352엔선에서 소폭 상승 출발하였습니다. 이후 지수는 미증시의 상승 영향 및 엔화의 약세에 힘 입어 소폭 상승세를 보이다 결국 21,336엔선에서 장을 마감하였습니다.
상해종합지수는 3,373.23에서 내림세로 출발하였습니다. 오전 중 낙폭을 확대하며 3,365.72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오전 장 마감 무렵 상승 전환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오후 들어 지수는 3,382.36에서 고점을 형성하기도 했으나, 이내 하락세로 돌아서며 결국 3,372.204에서 장을 마감하였습니다.
코스피지수는 2,484.96에서 상승세로 출발하였습니다. 장초반 약보합세로 돌아서며 2,478.76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반등에 성공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이후 2,480선 초중반대에서 소폭 상승 흐름을 이어가던 지수는 장후반 상승폭을 다소 확대하며 2,487.88에서 고점을 형성하며 장 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였습니다. 장 막판 일부 상승폭을 반납한 지수는 2,484.37에서 장을 마감하였습니다.
코스닥지수는 660.61에서 상승세로 출발하였습니다. 장초반 660.33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상승폭을 확대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상승폭을 확대하던 지수는 장후반 671.95에서 고점을 형성한 뒤 결국 670.51에서 장을 마감하였습니다.
어닝시즌 증시가 이어지는 가운데 금일 시장역시 혼조 움직임을 가져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일단 시장은 당분간 it업종보다는 그동안 소외받던 테마 / 업종으로 움직임이 나올 수 있겠으며 개별 실적개선종목, 테마 등이 움직임을 가져갈 것으로 예상되며 사드보복완화 조치에 따른 중국 관련테마들의 움직임 또한 체크해볼 부분입니다.
시총 최상위 대형주들이 지수를 끌어가고 있는 흐름이기에 지수의 변동과 관계없이 종목들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으며 금일 역시 코스피는 삼성전자의 방향성, 코스닥은 제약/바이오업종의 방향성에 따라 지수등락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시황 요약
1. 대형주 쏠림현상 지속
2. 삼성전자, 제약/바이오 업종 등락에 지수영향전망
★ 주요 이슈
- 제19차 中 당대회 개최 예정
- 美) 연준 베이지북 공개(현지시간)
- 수출 신흥국증시 강세 이어질 것
- 반도체/전기전자 - 일본무라타, 소니 배터리 사업에 이어 부품공장까지 인수
(삼성 등에 뒤치질까 위기감)
- 디스플레이/휴대폰 부품 - 삼성 이어 애프도 내년에 '접는 폰' 원년된다.
삼성에 이어 애플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면서 차세대 스마트폰에 대한 기대감 점점 증가
LG 디스플레이와 OLED 디스플레이를 개발하는 TF 구성 2020년 출시 목표
기술 유출에대한 우려로 LG디스플레이를 파트너로 선택
- 화학/정유 - 2016년 4분기 6.7$, 2017년 3분기 8.2$, 9월 9.0$, 10월 1주 7.3$, 10/12일 7.3$
(과거 평균 5.8$, 전년 10월 5.9$) (휴켐스) 4분기 실적 부진 예상
'주식 > 시황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월 20일 시황 (0) | 2017.10.20 |
---|---|
10월 19일 시황정보 (0) | 2017.10.19 |
10월 17일 마감시황 (0) | 2017.10.17 |
10월 17일 주요 공시 및 시황정보 (0) | 2017.10.17 |
10월 16일 마감시황 (0) | 2017.10.16 |